⊙ 응급상황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이 심근경색으로 증상시작 1~2시간
후에 사망할 수도 있다.
⊙ 우선 목숨을 구하고,
고통을 완화시키는데 치료 목적이 있다.
⊙ 환자가 흉통이 있으면
그 즉시 병원으로 이송해야 한다.
1시간
이내에 도착하면 50%가 치료 가능하고 6시간
이후에는 이미 심근이 썩어 효과가 없다.
평상시에
가까운 전문병원의 위치를 알아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 그러므로 가장 중요한
것은 흉통 발생 후 즉시 병원에 이송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고
늦어도
6시간 이내에 이송해야만 한다.
⊙ 경색 부분이 치유될
때까지 심장의 운동을 가능한 한 감소시키고
동통,
기타
불쾌한 증세를 없애며 쇼크나 심부전 등에
대한 치료를 하고
사망의
원인이 되는 위험한 부정맥을 치료한다.
⊙ 병원에서 하는 심근경색에
대한 무서운(?) 치료
통증완화
- 몰핀주사, 산소공급 - 산소마스크, 부정맥치료
- 전기충격(심실세동 제거),
심부전치료
- 혈압유지, 혈전용해 - 대표적인 것으로 유로키나제가
있다.
약물요법
▷ 안정제 투여로 절대
안정을 시켜 심부담을 줄여주고, 진통제 투여로
통증을 가라 앉힌다.
▷ 산소를 흡입시켜 심근에
산소공급을 늘려주고, 리도카인 투여로 부정맥을
방지한다.
▷ 도파민 투여로 심원성
쇼크를 방지하고 혈전 방지를 위하여 아스피린,
헤파린을 사용한다.
▷ 심근경색 발생 후 4~5시간
이내이면 혈전 용해제 투여로 혈전을 용해시키고,
외과적인
관상동맥 우회로술로 부혈행로를 만들거나
필요하면
대동맥
내 풍선확장술(aortic balloon couter pulsation)을
행한다.
▷ 또한 관상동맥벽의
혈전덩어리나 콜레스테롤을 수술을 통하여
제거해 내기도 한다.
① 혈전용해
요법 |
동맥경화로
좁아진 관동맥에 혈전(피떡)이
생성되면서 관동맥의 완전폐쇄가
이 병을 일으키는 원인이므로,
혈전용해제의 적기 투여가 치료의
핵심이다.
시간이
너무 많이 지난뒤에는 관동맥이
개통되어도 심장의 근육이 소생하지
못하므로 가장 중요한 요점은
흉통발생후 빠르면 빠를수록 혈전용해요법의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므로, 적어도
흉통후 4시간 이내에는 혈전용해제가
정맥주사로 투여되어져야 한다.
|
② 풍선
확장술 |
동맥경화로
좁아진 관동맥을 풍선을 이용하여
확장하는 방법으로, 수명을 연장시키고
활동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
③ 활동
및 재활 |
입원기간
동안에는 휴식과 안정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합병증이
없는 심근경색증에서는 10일 내지
2주정도 입원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의사에 따라 혹은 증세의 경중에
따라 다르다.
경색후
2~3일까지는 하루 한시간 정도
의자에 앉아 있게 허용할 수 있으며,
3~4일에는 하루 2시간 정도 앉은
자세를 허용하다가 병실내의 화장실왕래를
시도한다.
육체적
활동을 장차 증가시키되 대개의
경색증은 6~8주에 흉터조직으로
대체됨으로 12주이후에는 정상적인
업무에 복귀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
④ 동통의
대증 요법 |
: 모르핀,
아편제제, 데메롤, 코데인, 약한
진통제, 강한 진정제등을 이용한다. |
⑤ 쇼크
대증요법 |
: 일반처치로는
혈압이 정상으로 돌아올 때까지
안정시켜야만 하고 산소공급이
필요하며, 기타 폐수종이나 부정맥이
있으면 이에 해당하는 치료를
하여야 한다.
특수요법으로는
혈압 항진제가 사용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레바르테레놀과
메타라미놀이며 지속적인 정맥
주입법으로 정맥주사한다. |
식사요법
급성기
|
▷ 심근경색의
발작이 있을 때는 절대 안정기로
6~24시간 절식하고,
증상이
안정되면 유동식을 1~2일 실시하고
점차로 3부죽, 5부죽, 전죽으로
진행한다.
▷ 당질을
중심으로 한 저열량식과,
고단백질, 저지방식사로 하며
과량의 식사는
위를
팽창시켜 호흡곤란을 일으키거나
식 후 대사율을 증가시켜 심장에
부담을 주므로
식사량은
소량씩 자주 공급하여 전신의
영양상태를 높여 주어야 한다.
▷ 특히 나트륨(2,000mg이하)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은 식사를 제공하고
▷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나 홍차는 금한다.
▷ 또한 복부팽만을
가져오는 식품도 피한다. |
회복기
|
▷ 동맥경화 예방
식사요법을 기준으로 하여
콜레스테롤,
나트륨, 포화지방산, 카페인,
열량 등을 개인에 맞게 제한한다.
▷ 비만의
정도와 증상, 생활활동조건에
따라서 적정체중 1kg당 25~30kcal/day정도로
하고
1900kcal/day를
한도로 열량을 제한한다.
▷ 심장세포의
회복을 위하여 양질의 단백질이
필요하므로 충분히 공급한다.
▷ 단백질은
적정체중
1kg당 1.2~1.5g/day로 하고,
생물가가
높은 동물성 단백질을 총단백질
필요량의 45~50%로 한다.
▷ 동물성
지방의 사용을 억제하고,
식물성
유지와 어류를 사용하여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섭취를 많이 한다.
특히
콜레스테롤이 적은 식품을 선택하고
혈중 콜레스테롤치는 220mg/dl
이하로 유지한다.
▷ 단순당질인
설탕, 사탕류와 과일은 제한하는
것이 좋다.
과량의
당질은 체내에서 쉽게 지질로
전환되므로 특히, 단순당질 섭취를
제한한다.
▷ 고혈압의
합병증이 있는 경우, 소금을 3~5g/day
이하로 한다.
▷ 비타민은
충분히 공급하고, 특히 비타민
E는 반드시 섭취한다.
▷ 알콜류,
기호음료는 금지한다.
소량의
알콜은 혈관 확장력을 가지나
많은 섭취는 심장부담을 증가시킨다.
커피도
흥분제로 심장부담을 증가시키고
정신안정을 방해하므로 금한다.
|
(식품의 콜레스테롤
및 지방 함량(100g중)
식 품
|
지 방
(g)
|
콜레스테롤
(mg)
|
식 품
|
지 방
(g)
|
콜레스테롤
(mg)
|
쇠고기
(사태,우둔)
|
46
|
70
|
오리고기
(껍질포함)
|
28.6
|
80
|
소등심
(살코기)
|
15.9
|
75
|
닭고기
(흰살만)
|
2.9
|
60
|
소꼬리
|
47.0
|
75
|
닭고기
(검은살만)
|
5.4
|
70
|
소간
|
3.7
|
240
|
닭날개
(껍질포함)
|
15.8
|
110
|
소곱창
|
10.8
|
221
|
달걀 |
11.2 |
470 |
돼지등심
(살코기)
|
13.2
|
75
|
대구알젓
|
1.6
|
295
|
삼겹살
|
25.6
|
70
|
장어
|
21.3
|
|
◑ 예방
▷ 동물성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많이 들어 있는 음식을 가급적 피해서
고지혈증에
걸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 금연을 해야 한다.(담배
끊어서 나쁠 것 없다 - 담배 물고 쓰고 있슴^.^)
▷ 적절한 칼로리 섭취로
늘 이상적인 체중을 유지해야 한다.
▷ 고혈압이나 당뇨병이 있는
사람들은 그에 따른 적절한 치료와 함께 계속
식이요법을 해야한다.
▷ 등산이나 조기, 수영,
테니스 등 자신이 즐길 수 있는 운동을 꾸준히
하면서 건강을 유지한다.
▷ 과로와 스트레스를
피하고 규칙적이고 적절한 휴식을 취하면서
편안한 마음으로 생활한다.
(허용식품과 제한식품)
고려사항
|
허용식품
|
제한식품
|
염분 |
신선한
어육류,
채소류,
소금이
첨가되지 않은 냉동육류,
생선,
채소류,
식빵과
하트롤 |
저장식품
:
김치류,
젓갈류, 굴비, 자반고등어, 건어물 |
가공식품
: 치즈, 베이컨, 햄, 어묵, 통조림 |
염분이
많은 스낵류 : 포테토칩, 팝콘,
크랙커 |
빵종류
: 비스켓, 도나츠, 케이크, 버터빵,
치즈 빵, 팬케이크, 와플, 과자류
|
후추가루,
식초, 레몬쥬스, 파, 마늘, 생강,
겨자, 와사비 |
소금,
간장, 된장, 고추장, 우스타소스,
바베큐 소스, 베이킹 파우더,
소다, 화학조미료, 케찹 |
콜레스테롤
|
저지방어육류
:
하루200g미만으로제한
육류(살코기),
닭(껍질제거),
굴, 게,
조개류(피조개 제외),
참도미.
가자미, 광 어, 동태,
갈치등
난백 |
고지방
어육류 :
갈비(소,돼지),
삼겹살, 돼지머리, 기름기많은등심
,안심, 닭껍 질, 장어, 미꾸라지,
소시지, 핫도그, 쇠고기 갈은
것, 포장육) |
기타 콜레스테롤식품
:
육류의내장부위,
생선알 , 새우, 전북, 오징어류
(물오징어, 마른오징어, 오징어채),
난황 (주 2회이상) |
저지방유제품
:
저지방우유,
락토우유, 두 유, 탈지분유, 저지방요구르트
|
고지방유제품
:
목장우유,
치즈, 생크림, 전지분유, 밀크쉐이크,
아이스크림, 블루치즈드레싱 |
식물성
단백질 식품 :
두부류,
콩류 |
고지방
빵류 :
케이크,
비스켓, 패스츄리, 머핀, 도우넛
|
포화지방산
|
옥수수기름,
면실유, 참기름, 카놀라유, 소프트
마아가린 (하루15~20cc) |
버터,
라아드, 베이컨, 기름, 돼지기름,
닭기름, 코코넛기름, 야자유,
팜유, 쇼트닝, 케슈넛, 하드마아가린
|
조리법
|
삶기,
찌기, 굽기 |
튀김 :
고기, 닭, 생선튀김, 후렌치후라이
부침 :
전, 부침, 빈대떡, 달걀후라이
|
섬유질
|
싱싱한채소,
과일등
전곡류
(현미, 잡곡밥) |
염분이
첨가된 야채쥬스, 토마토 쥬스(고염),
치즈나 버터, 크림이 첨가된 채소,냉동식품
|
알코올
|
생수,
라이트콜라, 쥬스 |
소주,
맥주, 포도주, 정종, 위스키,
막걸리 |
단당류
|
|
사탕,
꿀, 엿, 케이크, 아이스크림,
과자, 콜라, 사이다.등 |
★
외식의 선택
<권장메뉴>
된장, 고추장을 적게
넣은 비빔밥, 쌈밥, 한정식 생선구이, 김밥,
국수(국물제외)
<패해야할
메뉴>
찌개백반, 짜장면,
짬뽕 등의 각종 중국요리, 육개장 등
꼬리곰탕, 설렁탕,
도가니탕, 부대찌개, 해장국, 곱창전골, 추어탕,
보신탕 등 기름기 많은 탕류
운동요법
▷ 급성 심근경색의 회복에는
가벼운 운동을 하기도 하는 재활 프로그램이
추천되어지고 있다.
(실내에서
15분간 예비체조 후 200m트랙을 한바퀴 돈
뒤
맥박을
재고 지시된 맥박수에 맞도록 운동의
강약을 조절한다.)
▷ 50m 정도의 보행에서
시작하여 1,000m 보행으로 늘려가면서 운동량을
서서히 증가시킨다.
▷ 이런 것은 의사의 지시,
감시아래 이루어 지고 절대로 무리한 프로그램을
행해서는 안된다. |